광고료 부담없는 독자밀착광고 보셨나요? 경남도민일보가 딱 2주 전부터 19면 하단에 선보인 '자유로운광고' 모습입니다. 김주완 편집국장님의 얘기에 의하면 '자유로운광고'는 광고국이 아닌 편집국에서 광고 접수, 편집, 수납 등 모든 것을 알아서 하는 지면이라고 합니다." 편집국에서 광고를 관리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편집국의 영역 침범? 새로운 시도의 실패 우려에 대한 광고국의 책임 떠넘기기? 전 그보다 경남도민일보 편집국이 이 광고 지면을 하나의 기사로 본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독자가 쓰는 광고를 독자가 재밌게 볼 수 있는 기사로 만들겠다는 시도라고 봤습니다. [오늘의 의견 광고] 옛사람들 말하길… 이게 저만의 추측은 아니었습니다. 실제 경남도민일보는 독자의견광고를 기사로 다루었습니다. 다른 기사와..
처가집에서 발견한 책입니다. 6.25 종전 다음 해인 1954년에 해방 10주년을 기념해서 나온 책입니다. 책 맨 위에 "희망별책"이라고 쓰인 걸로 보아 희망이란 잡지의 별책부록으로 나온 책인 듯 합니다. 책은 해방 후 10년 간의 역사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몇 줄 읽어보니 생각보다 재미있습니다. 해방 후10년 간의 역사도 알 수 있지만 그 역사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시각도 알 수 있었습니다. 옛날 책을 읽는 재미가 바로 이런 층위를 읽는 재미일 것입니다. 본격적인 읽기는 차차 하기로 하고 먼저 400여 페이지의 책을 대강 훑어봤습니다. 당연하겠지만 가장 눈에 들어오는 건 광고였습니다. 당시 시대상이 반영된 재밌는 삽화와 글귀가 상당한 읽기의 재미를 주었습니다. 그런데 54년 전 광고의 대부분은 의료광고..

아직 없습니다. 각종 싸이트들의 이름으로 한겨레와 경향에 광고가 실렸습니다. 그런데 아직 블로거는 없습니다. 촛불문화제에서 블로거들이 중심적 역할을 했다는 언론 등의 평가가 조금 무안해지는 순간입니다. 블로그가 게시판에 비해 접촉의 밀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라 그랬을 거라 생각합니다. 좀 늦을 수 있죠. 사회 이슈에서 강력한 목소리를 내왔던 블로거들이 이런 트렌드(?)를 그냥 지나칠리 없습니다. 예 좀 늦었습니다. 이제서야 한분께서 총대를 매셨습니다. 대전에 계시는 peter153님께서 경향에 광고를 내시겠다며 계좌와 신상을 공개하셨습니다.(박수 짝짝짝) 현재까지 9분의 모금 51만원이 모였다고 합니다. 목표로하는 광고는 10*13센티의 85만원짜리 광고입니다. 돈이 더 들어오면 좀 더 큰 광고도 생각하고 ..

2월11일자 한겨레 10면입니다. 혼자 올린 건 아니고요. 저 포함해서 8분이 한겨레신문에 블로거광고를 올렸습니다. 청석(blog.daum.net/phsminister), ARMA(armaon.com), 대네브(deneb.pe.kr), 작은인장(may.minicactus.com), 한글로(media.hangulo.net), 커서(geodaran.tistory.com), 이승환, 몽구(mongu.net) 요즘 삼성이 광고를 안싣는 바람에 한겨레신문이 많이 어렵다고 하죠. 그래서 시민단체 등에서 한겨레에 시민광고를 올리자는 운동도 하고있습니다. 이런 취지에 공감해서 올리긴 했지만 사실 그게 다는 아니었습니다. 블로그도 개인매체로서 매체다운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매체를 광고하는 것이 매체로서의 독립성을..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