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검찰도 삼성비자금을 대략 알고 있었다. 삼성법무팀 김용철전무가 대선자금수사 당시 삼성과 검찰 사이에서 수사협상을 했고 그때 삼성이 수사에 협조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이후 삼성은 김용철전무가 시간을 벌어놓은 사이 주요 관계자를 외국으로 빼돌리고 약속을 깼다. 김용철전무의 증언이 사실이라면 검찰은 삼성의 비자금이 그게 다가 아니란 걸 대략 알고 있었다.


우리은행에는 김용철전무 자신도 모르는 계좌가 있었다. 자신의 계좌인데 자신이 알아볼 수도 없었다. 50억이라는 돈도 삼성재무팀 직원이 이자소득세 내라며 준 돈을 보고 추측했다. 김용철전무의 증언대로라면 은행도 삼성의 불법 비자금에 분명 관여했다는 얘기다.


보통 일이 아니다. 기업과 금융과 검찰이, 이 나라의 권력 중에 권력들이 한통속으로 놀아난 엄청난 범죄다. 이쯤되면 온나라가 들썩거려야 하고 기자들은 사건의 향방을 쫒느라 눈코 뜰 새 없어야 한다.


그런데 조용하다. 한겨레와 시사인등 일부언론을 제외하곤 조용하다. 방송도 대여섯 꼭지 밀려 보도된다. 신정아사건에 언론이 너무 흥분했다는 비판을 의식해서인지 어조도 너무 차분하다. 심지어 어떤 언론사는 “사회의 흠집처럼 보이더라도 불완전한 인간이 모여사는 곳엔 '합리적 무시'가 필요하다.”는 기가막힌 변론까지 한다.




삼성이 10조의 돈을 벌어준다고 언론들은 떠받든다. 그러나 삼성처럼 이기기 위해 삼성에게 뒤지지 않기 위해 저마다 법과 언론과 은행과 유착하여 비자금을 만들고 온갖 불법을 저지르면서 유리한 입법과 판결을 유도한다고 생각해봐라. 그렇게 해서 사회적으로 발생시킨 비용은 얼마나 될까.


국가의 법과 질서를 유린하여 나타난 손실은 기업차원의 이익과 비교자체가 불가능한 것이다. 법과 질서만 따르면 되는 사회에선 법과 질서만 대비하면 된다. 그러나 법과 질서가 아닌 다른 변수들도 경쟁을 가르는 요소가 되는 사회는 그것까지 준비해야 하고 따라서 경쟁비용은 상승한다. 그 비용들은 기업의 부담이 되고 그 부담은 다시 국민들에게 전가된다.


얼마를 벌었느냐는 중요한 게 아니다. 어떻게 벌었느냐가 중요하다. 적게 벌어도 올바른 기업문화와 효율적 방법으로 벌었다면 그건 이사회의 자산이 된다. 그러나 온갖 불법과 편법으로 벌은 돈이라면 그 액수가 많으면 많을 수록 이 사회에 더 큰 재앙이 된다. 김용철전무의 증언이 맞다면 삼성은 10조나 벌어들인 범죄집단일뿐이다.


신문만 보고 있으면 삼성이 대한민국을 먹여살린다는 착각이 들 정도다. 그러나 삼성이 먹여살리는 것은 사실 국민이 아니라 언론이다. 그들의 지면위에 깔린 삼성의 광고를 보면 알 수 있다. 김용철씨를 비열한 폭로자로 매도한 매일경제 이동주씨의 31일자 칼럼은 그 가격까지 궁금할 정도다. 이정도로 무식하고 용감하게 편들었는데 삼성에서 꽤 값을 쳐줘야 할 것 같다.


범죄에 눈감고 홍보에 열올리는 것들이 언론을 자처하고 있다. 이정도면 쌍욕 한마디 날려도 된다.


야이 개색히야.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