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얼마전 시사블로거들은 왜 댓글소통을 안하느냐는 지적을 봤다. 맞는 말이다. 시사블로거들은 댓글에 인색한 편이다. 자신의 블로그에 달린 모든 댓글에 일일이 답글을 달아주지않는 편이고, 다른 블로거에게도 찾아가 댓글소통을 잘하지 않는 편이다. 

시사블로거들이 댓글에 인색한 이유는 시사블로거의 시작을 생각해보면 알 수 있다. 시사블로거들은 대개 정치토론싸이트에서 논객으로 활동한 사람들이 많다. 그들의 정신과 태도는 정치토론싸이트에서 형성된 것인데 이런 토론싸이트에서 가장 경계하는 것이 바로 인맥이다.  




친분이 개입하면 토론은 공정성을 잃게되고 싸이트는 친분이나 나누는 교류의 장이 되어버린다. 그렇기 때문에 정치토론싸이트에서는 친분성 댓글은 경계하는 편이다. 오래 있다보면 친분이 쌓이는 건 어쩔 수 없지만 그래도 그런 친분이 빨아주기 토론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경계하면서 토론방으로서의 건강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때때로 논객들 간에 쌍욕을 내뱉는 격한 토론이 벌어지기도 하는데 이런 걸 오히려 토론싸이트의 동력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그만큼 논객들은 관계보다 토론의 공정함과 치열함에 더 집중하는 것이다.

오늘 낄낄거리며 같이 떠들고 논 사람에게 내일 말의 칼로 상처를 줄 수도 있다. 언제든 상대와 날선 토론을 각오해야 하고 그렇게 해야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시사블로거들이다. 그래야 커뮤니티와 논객 모두 건강성을 유지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사람들이니 왠만해선 관계를 맺지않으려고 한다. 토론을 위해선 관계를 물려야하고 관계를 위해선 토론을 참아야 한다. 관계가 나중에 논쟁에서 짐이 되는 걸 많이 겪었기 때문에 교류성 댓글 다는 것에 많이 신경이  쓰이지 않을 수 없다. 실제로 이런 교류성댓글을 문제삼아 공격하는 일은 정치토론방에서 다반사로 이루어진다.

이런 시사블로거의 특성은 블로그에 부합하지 않는 점이 있다. 블로그는 소셜네트워크(SNS)로 인맥이 내재된 서비스이다. 블로거에게 중요한 자산인 인맥을 시사블로거는 그 특성상 경계해야 한다. 블로그는 자신의 컨텐츠를 장사하기 위해 만든 것인데 시사블로거는 그 장사를 대놓고 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렇다고 시사블로거가 댓글을 안적는 건 아니다. 시사블로거들도 욕이 아닌 반론성 댓글엔 반드시 답댓글을 단다. 보완하는 댓글에 공감의 댓글도 단다. 시사블로거들도 댓글의 내용엔 분명히 반응한다.

블로거라는 이름으로 모두 하나로 묶일 수 있는 건 아닌 듯 하다. 각 분야별 특성이 있고 그 특성에 따라 행동양식도 다르다. 각 분야별 블로거의 그런 특성을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한다고 본다.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