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1월 16일 유시민의원이 탈당을 선언했다. 손대표 선출 직후 탈당한 이해찬 장관에 이은 두번째 탈당이다. 친노의 핵심 중에 핵심인 두 사람이 탈당함으로써 친노정당의 출범이 기정사실화 되어가고 있다. 곧 이화영의원이 나오고 원외 인사들을 모아 친노정당을 창당할 거라는 시니라오도 언론을 통해서 흘러나오고 있다.


그런데 이런 친노의 탈당을 지켜보면서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것이 있다. 과연 친노정당이 독자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호남은 신당이 잡고 영남은 한나라당 수중에 있는 현 정치지형에서 친노정당이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냐는 것이다.


친노가 탈당을 하는 이유는 당장에 총선에서 신당의 깃발 아래 의석을 얻을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 현재 신당은 영남과 다른 지역뿐 아니라 수도권까지도 참패를 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당장은 어렵다고 하지만 신당이 제공하는 호남을 근거로한 정치적 토양은 함부로 버릴 수 있는 게 아니다. 앞으로 정국의 변화에 따라 여론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그때는 신당의 호남표가 수도권 등의 지역에서 다시 발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만약 신당을 벗어난다면 친노는 이런 토양조차 잃어버려 장기도 기약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현 정치지형에서 볼 때 친노의 탈당은 단기나 장기 모두 얻을 게 별로 없어 보인다.  


그런데도 그들은 왜 탈당을 하는 걸까. 친노이념의 선명성을 위해서? 노무현정신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 정치인의 행동에 계산이 없을 수 없다. 친노의 탈당에도 분명 계산은 있다.


2/25일 노무현대통령이 퇴임하게 되면 서울이 아닌 고향마을 김해로 돌아가게 된다. 전임대통령이 서울이 아닌 고향집으로 간다는 것은 한국정치사에 유례가 없는 일이다. 이 것은 현실정치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노무현대통령의 정치이념을 따르는 세력이 노대통령 고향에서 출마한다면 지역여론은 그 정치집단을 쉽게 무시할 수 없다. 전임대통령에다 고향까지 내려온 노무현대통령이 지역정치판에서 한나라에 밀려 지금처럼 계속 무시당하진 않을 것이다. 그간 제한적일 수밖에 없던 노무현대통령의 지역정치 영향력은 탄력을 받게 되고 고향마을을 중심으로 친노여론이 전파되면서 친노에 유리한 정치환경이 영남 지역에 만들어 질 수 있다. 친노의 계산은 바로 여기에 있다.


당장 총선에선 겨를이 없을지 모르나 지방선거나 차기 총선에선 이러한 친노여론이 위력을 발휘한 가능성이 크다. 한나라당의 20년 일당 지역독재에 대한 염증과 지역에 내려온 노무현대통령에 대한 우호적 여론이 시너지를 효과를 일으키게 되면 몇년 뒤 영남지역에 지금은 상상할 수 없는 정치지형이 만들어 질 수 있다.  


한나라당이 올 4월 총선에서 압승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런 예측은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로 들릴 수도 있다. 그러나 팽창이 곧 균열의 위기가 될 수 있다. 그간 영남유권자의 선택을 제한할 수밖에 없었던 지역대결의 긴장이 한나라당의 대선에 이은 총선의 압승으로 앞으로 많이 느슨해질 수밖에 없다. 지역정치세력의 집권 목표를 달성한 영남유권자들이 한나라당에 대한 맹목적 지지에 피로감을 느끼고 유권자로서 다양한 선택을 즐길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아무리 정치환경이 달라진다 해도 태생적 문제 때문에 친노가 그 기회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지독한 반노정서는 영남 아니라 어디라도 친노가 생존할 정치토양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고, 영남에선 호남당의 이미지가 찍힌 친노에게 호남과 전략적으로 분리했다는 식의 비판이 상대로부터 쏟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노정서가 지독하다지만 이건 휘발성이 강한 정서이다. 반노정서는 정치세력 간의 정쟁에 의해 만들어진 점이 크기 때문에 노무현대통령이 퇴임하게 되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날아갈 가능성이 크다. 반노정서는 퇴임대통령에 대한 우호적 여론에 덮일 수 있다. 호남당 비판도 약빨을 받지 않을 것이다. 이미 신당이 나서서 노무현대통령과 차별화를 했고 그로 인해 친노는 탈당을 하고 있다. 두 세력간의 골이 여야만큼이나 깊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게다가 호남보다 친노브랜드가 더 강력한 이미지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친노의 도드라진 브랜드에 호남 이미지를 덧 씌우긴 어렵다.


친노를 위시한 정치세력들은 그간 한국의 지역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가지 노력을 해왔다. 그러나 결국 개혁세력이 호남유권자와 결합해서 영남에 진출하기 위한 노력들은 오히려 영남유권자의 경계심만 더 유발시켜 그들을 정치적으로 보수화 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지역주의 극복시도는 실패로 끝났고 영남의 유권자집단은 진보진영에 거대한 장애물이 되어버렸다. 개혁세력의 지역주의 극복 정치전략이 오히려 보수세력에게 달콤한 정치적 토양을 제공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개혁세력이 지역주의 극복이라는 이상에만 계속 매달릴 수는 없다. 지역주의 극복은 장기적 과제로 맡기고 지역주의를 정치환경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지역주의에 대한 결론과 정치지형의 변화에 따른 계산에 의해 친노가 내세울 것으로 예측되는 정치전략과 명분은 지역민주정당 건설론이다. 친노세력이 지역주의를 부정할 게 아니라 인정하고 오히려 지역의 민주정당 대표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친노가 지역민주정당 건설론으로 맞서면 한나라는 딱히 할말이 없게 된다. 호남을 근거로 한 정당이 한나라당에 대해 지역정당의 독재를 말하면 안 먹히지만 호남정치세력과 이제 선을 완전히 그은 친노세력이 그렇게 말하면 상황은 다르다.  


한나라의 1당 독재가 장기간 지속될거라 예측하는 사람도있다.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전혀 예상치 못한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이명박정권의 여론이 나빠지고 그 대체세력으로 영남에서 친노가 부각되면서 한나라당을 물갈이 하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 87년 이후 20년간 고정된 지역주의 체제에 유권자들이 염증을 느끼고 누구보다 응집력 강한 친노지지자들이 움직이면 이런 일은 충분히 가능할 수 있다. 어쩌면 친노의 성장으로 영남과 호남의 진보와 보수의 지역적 포지션이 뒤바뀔지도 모르는 일이다.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